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7

PBR, PER, ROE 뜻, 관계 쉽게 이해하기 오늘은 PBR, PER, RO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어를 그저 외우는 것이 아니라, 쉽게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이 세가지는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서 기업을 분석하는 기초적인 도구이기 때문에, 각 기업의 PBR, PER, ROE를 확인하고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1. PBR (Price - Bookvalue Ratio) Price는 주식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Bookvalue는 장부가치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장부가치란, 순자산(자본총계)를 의미합니다. 혹시 자본총계의 의미가 헷갈리신다면, 아래 글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2.11.20 -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 재무제표 기본 중의 기본 - 자산, 부채, 자본 (쉽게 이해하는 방법) 자산, 부채,.. 2022. 11. 27.
손익계산서 쉽게 이해하는 방법 (DART 접속, 이용 방법) 매 분기 또는 회계 기간마다의 실적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기업의 손익계산서입니다. 사업을 잘 하고 있는지, 돈은 잘 벌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선 손익계산서 정도는 읽을 수 있어야 합니다. 재무제표를 어디서 읽는지 모르시는 분들 또한 따라서 읽으실 수 있도록 DART 접속 방법부터 차근차근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1.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접속하기 우선, 재무제표를 읽기 위해선 전자공시시스템 사이트인 DART에 들어가야 합니다. DART에 접속한 후, 회사명 또는 종목코드를 입력하고 검색을 누르면 해당 회사의 공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시가총액 1위 기업, 삼성전자를 검색해보겠습니다. 기업의 재무제표만을 확인할 것이므로, 1) 삼성전자 입력 2) 기간 입력 3) 정기 공시.. 2022. 11. 22.
자산, 부채, 자본 뜻과 쉽게 이해하는 방법 (재무제표를 쉽게 읽는 기초 지식) 주식을 하시거나, 기업의 재무제표를 한 번이라도 보셨다면 자산, 부채, 자본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오늘은 회계의 기초중의 기초, 재무제표를 읽기 위해 최소한 알아야하는 지식인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해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1. 자산, 부채, 자본의 뜻 자산, 부채, 자본의 사전적인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산 :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 ·무형의 유가치물 부채 : 재화(財貨)나 용역(用役)의 차입(借入)을 전제로 부담한 금전상의 상환의무 자본 :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사용되는 자산 (출처 : 두산백과) 사전적 의미를 외운다고 해서 직관적인 이해에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각 단어의 한자를 뜯어보며, 그 본질을 이해해야 합니다. 1. 자산 資産(재물 자, 낳을 산) 자산이란 재물을 낳다,.. 2022. 11. 20.
상장폐지 뜻, 절차와 상장폐지를 피하는 법 '주식이 휴지조각이 됐다.' 투자자로써는 이보다 끔찍한 말은 없을 것입니다. 최악의 상황을 모면하는 방법, 상장폐지 위험 주식을 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상장폐지 위기의 주식에서 탈출하는 방법이 아닌, 사전에 상장폐지 위험이 있는 종목을 피하는 방법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 상장폐지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자발적 상장폐지와 비자발적, 즉 상장폐지를 '당하는' 것입니다. 자발적 상장폐지는 기존의 주주에게 피해가 가지 않으므로, 비자발적 상장폐지 위주로 알아볼 것입니다. 1. 상장폐지의 뜻과 절차 '상장폐지'란 더이상 코스피, 코스닥에서 거래되지 못하도록 상장을 취소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장폐지는 대체로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 → 관리종목 지정 → 사유 개선 미비시, 상장폐지 .. 2022. 11.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