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떠한 종목이든 상승만 하진 않으며, 하락만 하진 않습니다. 차트가 그리는 물결을 흔히 '파동'이라고 하는데 오늘은 파동론 중 아직까지 널리 쓰이는 파동 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내용이 많으니 총 3번의 포스트에 걸쳐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엘리어트 파동의 배경과 개념
2.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
3. 엘리어트 파동 실전 분석
1. 엘리어트 파동의 배경
"제 이론은 다우 이론보다 강력한 예측력을 발휘합니다. 내가 디트로이트로 갈 비용을 지불해준다면, 방문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랄프 넬슨 엘리어트(Ralph Nelson Elliott)가 1934년, 당시 유력 정보지 편집장 찰스 콜린스(Charles J Collins)에게 편지를 남깁니다.
당연히 콜린스는 이 편지를 무시했죠.
몇개월 뒤, 엘리어트는 '그동안 하락하던 주가가 1개월 뒤 반등할 것이다.'라는 전보를 보냅니다. 이를 콜린스는 또 무시합니다.
그러나, 실제로 주가는 엘리어트가 예측한 몇 시간의 오차로 급등합니다.
콜린스는 잡지에 주식시장이 본격적으로 상승할 것이라 기고했지만, 엘리어트는 '이번 상승은 기술적 반등에 그치고, 다시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다.'라고 전보를 보냅니다.
그리고, 주가는 다시 하락하였죠.
그때 콜린스는 생각했습니다.
'이 사람 투자 이론을 배워야한다.'
그제서야 콜린스는 엘리어트를 만나고자 연락을 보냅니다.
1935년 엘리어트는 주가가 하락하던 마지막날, 앞으로 오랫동안 지속될 상승장의 첫번째 조정이 끝났다는 전보를 보내며 디트로이트로 출발합니다.
한마디로, 엘리어트의 주가 향방에 대한 예측이 모두 들어맞은 것이죠.
확신에 찬 콜린스는 엘리어트와 투자자문 계약을 맺게 됩니다. 그리고 콜린스와 투자자들은 시장을 주도하며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었죠.
그러나 엘리어트의 생활은 그리 나아지지 않았고, 그는 자신의 이론을 널리 알리고싶어 했습니다.
1938년 엘리어트는 '파동론(The Principle of Wave)' 라는 책을 발간합니다. 그렇지만 콜린스에 가려져 있던 엘리어트의 이론은 주목받지 못하고, 결국 고향으로 돌아가게 됩니다.
1946년 '자연의 법칙과 우주의 신비(The Nature's Law - the secret of the Universe)라는 마지막 저서를 출간하고, 48년 1월 엘리어트는 사망합니다.
그리고 약 30년 후, 한동안 묻혀있던 엘리어트의 이론은 1978년 로버트 프렉터(Robert Pretchter J)와 A.J 프로스트(A.J Frost)에 의해 다시 소개되고, 세상에 알려지게 됩니다.
2.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개념과 원칙
2-1) 엘리어트 파동의 개념
엘리어트 파동은 말그대로 파동의 형태를 하나의 모양으로 이론화시킨 것입니다.
엘리어트 파동의 기본 형태는, 위 그림과 같이 5개의 상승 파동, 3개의 하락 파동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5개의 상승 파동(상승 추세의 파동들) : 1 ~ 5 파동
3개의 하락 파동(하락 추세의 파동들) : a ~ c 파동
여기서,
상승추세의 1파동, 3파동, 5파동과 하락추세의 a파동, c파동을 충격파라고 하고,
하락추세의 2파동, 4파동과 하락추세의 b파동을 조정파라고 합니다.
엘리어트 파동은 위 그림과 같이 세분화를 할 수도, 대세 추세선으로 이을 수도 있습니다.
2-2) 엘리어트 파동의 원칙
엘리어트 파동에는 몇가지 원칙이 존재합니다.
1. 2파동의 저점은 1파동의 저점을 이탈하면 안된다.
→ 조정의 파동이 추세적 파동보다 세다면, 상승추세라고 할 수 없겠죠.
2. 3파동은 가장 긴 파동이거나 최소한 가장 짧을 수 없다.
→ 3파동, 즉 2파동을 통해 조정이 끝난 후의 파동이 가장 세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4파동의 저점은 1파동의 고정을 침범하지 않는다.
→ 1번 원칙과 비슷한 이유이지만, 사실 침범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위 원칙은 엘리어트 파동의 근간을 이루는 내용이기도 하지만, 현대의 주식 차트를 포함한 여러 차트에 명확히 대입하기 어려운 점이 존재합니다.
따라서, 상승에는 조정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하락 국면에도 기술적 반등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사실만 이해하는 정도로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간단히 엘리어트 파동의 배경부터 개념, 원칙까지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포스팅에는 엘리어트 파동 안의 각 파동 성격에 대해서 알아볼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
2022.08.30 - [돈이되는 지식/기술적 분석] - 엘리어트 파동 이론 중 파동의 성격이란? (2)
엘리어트 파동 이론 중 파동의 성격이란? (2)
목차 1. 엘리어트 파동의 배경과 개념 2.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 3. 엘리어트 파동 실전 분석 이번 포스팅을 통해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 엘리어트 파
investment2.tistory.com
2022.11.14 - [돈이되는 지식/기술적 분석] - 엘리어트 파동 이론 실전 분석 (3)
엘리어트 파동 이론 실전 분석 (3)
목차 1. 엘리어트 파동의 배경과 개념 2.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 3. 엘리어트 파동 실전 분석 엘리어트 파동 이론 실전 분석 및 적용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마지막 포스팅, 실전 분석입니다. 결론부
investment2.tistory.com
'돈이되는 지식 > 기술적 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어트 파동 이론 실전 분석 (3) (0) | 2022.11.14 |
---|---|
엘리어트 파동 이론 중 파동의 성격이란? (2) (0) | 2022.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