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되는 지식/기술적 분석

엘리어트 파동 이론 중 파동의 성격이란? (2)

by 투two 2022. 8. 30.

 

 

 

 

 

목차

 

   1. 엘리어트 파동의 배경과 개념

   2.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

   3. 엘리어트 파동 실전 분석

 

이번 포스팅을 통해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


 

엘리어트 파동에는 총 8가지 파동이 존재했죠? 이번에는 각 파동의 성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1파동

 

하락하던 주가가 반등을 시작하는 지점이 곧 1파동, 즉 엘리어트 파동의 시작입니다.

 

하락이 지속되는 도중 일시적인 기술적 반등인지, 엘리어트가 말하는 1파동인지 어떻게 구분할까요?

그는 거래(량)가 늘기 시작하면 1 파동일 가능성이 높다고 합니다.

 

그러나, '과연 실전 매매에서 이것이 통하는가'에 대해 생각해 본다면 맹신할 수는 없는 구분 방법입니다.

 

아무 이유 없이 상승했다 다시 하락 추세를 이어가거나, 단순 호재성으로 잠깐 올랐다 다시 떨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이기 때문이죠.

 

1파동을 파악하는 방법은 2파동의 저가가 1파동 밑으로 떨어지느냐, 그 위에서 다시 반등하느냐일 것입니다.

그러나 이는 지극히 결과론적인 이야기입니다. 즉, 지나고 나서야 알 수 있다는 것이죠.

 

2. 2파동

 

1차 상승 추세에서 조정 국면의 파동입니다.

 

조정은 왜 발생할 수밖에 없을까요?

 

먼저, 단기 매매자들의 수익 실현이 한몫할 것입니다.

또한, 기나긴 하락에 지쳐있다 반등했을 때 바로 팔고자 하는 악성 매물이 존재할 수밖에 없습니다.

 

앞서 말씀드렸듯, 2파동이 1파동 밑으로 떨어진다면 그것은 더 이상 엘리어트 파동이 아니게 됩니다.

 

3. 3파동

 

가장 상승추세의 충격파(1파동, 3파동, 5파동) 중 가장 강력한 상승이 나올 확률이 높습니다.

 

'충격파'를 모르겠거나, 기억이 나시지 않은 분께서는 아래 글을 다시 한번 참고하시길 권유드립니다.

 

2022.08.28 - [돈이되는 지식/기술적 분석] -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배경과 개념 (1)

 

이론상 거래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며, 투자자들의 대부분이 상승 추세에 돌입했음을 인식하는 시기입니다.

 

파동의 비율

 

여기서 피보나치 비율의 개념이 나오는데, 보통 3파동은 1파동의 1.618배, 최대 2.618배 상승이 나온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 수치적 비율은 실전 매매와는 전혀 동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가격을 예측하는데 활용하시기보단, '3파동이 가장 강력할 수 있겠구나' 정도로 이해하시고 넘어가시면 됩니다.

 

4. 4파동

 

엘리어트는 4파동의 형태나 조정 파동의 정도를 미리 알 수 있다고 합니다.

2파동이 플랫 파동이면 4파동이 지그재그 파동일 확률이 높고, 2파동이 지그재그 파동이면 4파동이 플랫 파동일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실제 시장에선, 절대 위 그림과 같이 단순화된 차트가 아닙니다. 한 파동 안에도 작은 파동이 여럿 존재하기 때문에, 쉽게 파동을 읽어내기 어려운 경우도 많습니다. 그러나 플랫, 지그재그 교대에 대한 내용은 자주 눈에 띄는 경우도 많기에, 한 번쯤 차트를 보실 때 상기하시면 좋을 것입니다.

 

5. 5파동

 

5파동은 3파동의 고점 부근이나 그 부근을 좀 넘어서서 끝나는 경우가 많으나, 파동이 연장되며 급격한 상승이 나올 때도 있습니다. 즉, 이것이 3파동의 연장선인지 헷갈릴 정도로, 파동의 성격 자체가 모호하다는 것이죠.

 

따라서 이 파동이 3파동의 연장선이냐 5파동이냐를 따지기 보단, 언제 하락 추세로 전환될지 모르는 상황에 대비하여 어느 파동 때보다도 확실히 손절가 또는 익절가를 정해놓고 접근해야 할 것입니다.

 

6. a파동

 

상승 파동이 깊은 만큼, 하락 추세로 전환된다면 그만큼 급락폭의 크기도 클 수밖에 없습니다.

 

그러나 시장 주도주는 하락 이후 급상승하는 경우(테마 순환)도 있기 때문에, a파동을 정확히 맞추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

결국 이 또한도 하락이 진행된 후 알 수 있다는 것이죠.

 

7. b파동

 

하락 추세로 전환된 이후, 기술적 반등을 하는 파동입니다. 엘리어트는 b파동을 가짜 파동이라고 합니다.

가짜 파동이라 함은, 결국 잠깐 상승했다 다시 하락으로 전환될 것임을 말하는 것입니다.

 

b파동이 때때로 5파동의 고점을 돌파할 때도 있는데, 이를 불규칙한 조정의 꼭짓점이라고 엘리어트는 불렀습니다.

 

8. c파동

 

3파동이 상승 추세의 가장 강력한 파동이었다면, c파동은 하락 추세의 가장 강력한 파동입니다. 하락의 끝은 그 누구도 알 수 없으니, 손절만이 답입니다.

 

결론

 

엘리어트 파동 이론 중 각 파동의 성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어떠셨나요?

 

'그래서 어쩌라는 거야? 정답이 없잖아?'라고 생각이 드실 것입니다. 저또한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기 때문입니다.

 

주식을 포함한 모든 시장은 예측보단 대응의 영역에 가깝습니다.

 

많은 경험을 바탕으로 예측할 수는 있겠지만, 미래에서 회귀한 것이 아니라면 예측률이 100% 일 수 없을 것입니다.

 

따라서, 자신의 경험과 데이터를 끊임없이 축적하여, 주가(또는 그 외 투자) 변동성에 어떻게 대응할지 공부해야 합니다.

 

 

엘리어트 파동 이론 관련 3번째 포스팅에선 실전 차트에 어떻게 이론을 적용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2.11.14 - [돈이되는 지식/기술적 분석] - 엘리어트 파동 이론 실전 분석 (3)

 

엘리어트 파동 이론 실전 분석 (3)

목차 1. 엘리어트 파동의 배경과 개념 2. 엘리어트 파동의 성격 3. 엘리어트 파동 실전 분석 엘리어트 파동 이론 실전 분석 및 적용 엘리어트 파동 이론의 마지막 포스팅, 실전 분석입니다. 결론부

investment2.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