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PBR, PER, ROE 뜻, 관계 쉽게 이해하기

by 투two 2022. 11. 27.

 

오늘은 PBR, PER, ROE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어를 그저 외우는 것이 아니라, 쉽게 이해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이 세가지는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서 기업을 분석하는 기초적인 도구이기 때문에, 각 기업의 PBR, PER, ROE를 확인하고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1. PBR (Price - Bookvalue Ratio)


 

 

Price는 주식의 가격을 의미합니다. Bookvalue는 장부가치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장부가치란, 순자산(자본총계)를 의미합니다. 혹시 자본총계의 의미가 헷갈리신다면, 아래 글을 먼저 읽고 오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2022.11.20 -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 재무제표 기본 중의 기본 - 자산, 부채, 자본 (쉽게 이해하는 방법)

 

자산, 부채, 자본 뜻과 쉽게 이해하는 방법 (재무제표를 쉽게 읽는 기초 지식)

주식을 하시거나, 기업의 재무제표를 한 번이라도 보셨다면 자산, 부채, 자본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오늘은 회계의 기초중의 기초, 재무제표를 읽기 위해 최소한 알아야하는 지식인 '자산, 부

investment2.tistory.com

 

Ratio란 비율을 의미합니다. 앞서 살펴본 영어 그대로를 해석하면 주식가격과 장부가치의 비율은 얼마인가? 입니다. 더욱 쉽게 해석하자면, '회사의 몸집(자본) 대비 현재 주가가 얼마야?'가 될 것입니다.

 

그러나 주가는 '1주당 가격'입니다. 자본총계와 비교하기 위해선, '1주당 자본총계'를 구해야겠죠. 1주당 자본총계를 바로 주당순자산가치라고 하며, 이를 영어로 BPS(Bookvalue per share)이라고 합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해보겠습니다.

 

 

PBR이 높다면, 현재 회사의 순자산 대비해서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BR이 낮다면, 반대로 회사의 순자산 대비해서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BR은 업종마다, 종목마다 천차만별이므로 한 회사의 PBR이 낮다고 해서 가격이 절대적으로 낮다고 판단하긴 어렵습니다.

 

2. PER (Price - Earning Ratio)


PER의 P와 R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Price(가격)와 Ratio(비율)을 의미합니다. E는 Earning을 뜻하는데, 이를 번역하면 수입을 의미합니다. 기업의 수익은 '당기순이익'으로 판단합니다. 앞서 살펴본 영어 그대로를 해석하면 주식가격과 당기순이익의 비율은 얼마인가? 입니다. 더욱 쉽게 해석하자면, '회사가 돈버는거 대비해서 주식 가격이 얼마야?'가 될 것입니다.

 

당기순이익을 모르신다면, 아래 글을 먼저 읽고 오시길 추천드립니다.

 

2022.11.22 -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 손익계산서 쉽게 이해하는 방법 (DART 접속, 이용 방법)

 

손익계산서 쉽게 이해하는 방법 (DART 접속, 이용 방법)

매 분기 또는 회계 기간마다의 실적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기업의 손익계산서입니다. 사업을 잘 하고 있는지, 돈은 잘 벌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선 손익계산서 정도는 읽을 수 있어야

investment2.tistory.com

 

역시 주가는 '1주당 가격'입니다. 당기순이익과 비교하기 위해선, '1주당 당기순이익'을 구해야겠죠. 1주당 당기순이익을 바로 주당순이익이라고 하며, 이를 영어로 EPS(Earning per share)이라고 합니다. 이를 식으로 표현해보겠습니다.

 

PER이 높다면, 현재 회사의 당기순이익 대비해서 주식가격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ER이 낮다면, 반대로 회사의 당기순이익 대비해서 주식가격이 낮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PER은 기본적으로 기업의 주가가 저평가되진 않았는지 판단하는 지표로 이용됩니다.

 

그러나 주식은 '앞으로 더 성장할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중요하기에, 무작정 저PER주만 찾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산업이나 정부 정책, 기업의 사업성에 대해 종합적으로 판단한 후, 미래를 투자한다면 PER이 어느정도 높아도 매수를 고려해 볼만하기 떄문입니다.

 

3. ROE(Return on Equity)


R의 Return은 투자에 있어서 수익을 의미합니다. Equity는 자본총계를 의미합니다. 즉 Return on Equity를 그대로 해석하자면, 기업의 자본총계 대비 수익률을 의미하고, 더 쉽게 말하자면 '기업이 몸집 대비해서 돈을 얼마나 잘벌어?'라고 할 수 있습니다

ROE가 높다면 기업이 1년간 돈을 얼마나 잘 벌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됩니다. 즉, ROE가 높은 기업은 현재 사업을 잘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PBR, PER, ROE의 관계


위에서 PBR, PER, ROE의 뜻을 살펴보았을 때 주식투자를 하기 위해 기업에 대해 평가를 하는 요소는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1) 주가 (Price) : 현재 주식의 가격

2) 자본총계 (Equity 또는 Bookvalue) : 현재 기업의 몸집, 크기

3) 당기순이익 (Earning 또는 Return) : 현재 기업이 얼마나 돈을 잘 버는지

 

PBR, PER, ROE는 무작정 외워서 적용하는 것이 아닙니다. 각 지표이 어떠한 요소로 이루어졌는지 이해해야 비로소 본질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