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자산, 부채, 자본 뜻과 쉽게 이해하는 방법 (재무제표를 쉽게 읽는 기초 지식)

by 투two 2022. 11. 20.

 

주식을 하시거나, 기업의 재무제표를 한 번이라도 보셨다면 자산, 부채, 자본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오늘은 회계의 기초중의 기초, 재무제표를 읽기 위해 최소한 알아야하는 지식인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해 쉽게 알아보겠습니다.

 

1. 자산, 부채, 자본의 뜻


자산, 부채, 자본의 사전적인 뜻은 다음과 같습니다.

 

자산 : 개인이나 법인이 소유하고 있는 유형 ·무형의 유가치물

부채 : 재화()나 용역()의 차입()을 전제로 부담한 금전상의 상환의무

자본 : 재화와 용역의 생산에 사용되는 자산

 

(출처 : 두산백과)

 

사전적 의미를 외운다고 해서 직관적인 이해에 도움이 되지는 않습니다.

각 단어의 한자를 뜯어보며, 그 본질을 이해해야 합니다.

 

1. 자산

 

資産(재물 자, 낳을 산)

 

자산이란 재물을 낳다, 즉 재물을 쌓는다는 의미입니다.

 

2. 부채

 

債(질 부, 빚 채)

 

부채 빚을 지다, 즉 남으로부터 돈을 빌린다는 의미입니다.

 

3. 자본

 

本(재물 자, 근본 본)

 

자본 근본이 되는 재물을 의미니다.

 

한자를 토대로 이해해보겠습니다.

 

자산, 즉 재물을 쌓는 실체가 바로 기업입니다.

 

자산 = 기업이라고 생각하겠습니다.

 

기업은 아무것도 가진 것없이 땅을 파서 장사하는 것이 아닙니다.

기업을 세우려면 먼저는 투자금이 있어야 하죠. 투자금은 두가지 종류로 나뉩니다.

그것이 바로 부채자본입니다.

부채는 남으로부터 빌린 돈입니다. 자본은 근본이 되는 재물, 즉 내 돈입니다.

 

남의 돈과 내돈으로 세운 기업을 나름 있어보이게 공식화해보겠습니다.

 

자산 = 부채 + 자본

 

남의 돈(부채)와 내 돈(자본)으로 세운 기업(자산)

 

위 문장만 이해했다면, 자산 부채 자본은 따로 외우려고 하지않아도 이미 머릿속에 각인되었을 것입니다.

 

삼성전자 21년, 20년, 19년 요약재무제표 (출처 : DART)

 

삼성전자의 요약재무제표를 보면, 부채와 자본의 합이 자산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자산, 부채, 자본의 쉬운 예시


 

위의 내용을 쉬운 예시로 적용해보겠습니다.

 

여러분이 치킨집을 차리려고 합니다.

치킨집을 차리기 위해, 약 10평의 매장과 그 외 비품이 필요하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가격은 다음과 같습니다.

 

10평 매장 : 3억원

그 외 비품 : 5,000만원

 

총 금액 : 3억 5,000만원

 

여러분의 수중에는 약 1억 5,000만원이 있습니다. 전재산이라고 볼 수 있죠.

2억원이 부족하기 때문에, 은행에서 2억원을 대출받습니다.

 

 

 

여러분은 3억 5천만원의 자산(치킨집)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1억 5천만원의 내돈(자본)과 2억원의 은행 대출(부채)로 이루어져있습니다.

 

자산, 부채, 자본은 어떠한 주식 종목의 회사든, 위와 같은 골격을 갖추어 재무상태표가 작성됩니다.

 

3. 회사 타인자본의존도 판단의 척도 : 부채비율


 

부채비율은 회사가 타인자본에 얼마나 의존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척도입니다.

 

계산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자기가 가지고 있는 '자본' 대비 대출을 얼마나 받았는가? 라고 생각하시면 쉽게 이해가 되실 것입니다.

 

방금 살펴보았던 치킨집 예시에서의 부채 비율을 구해보겠습니다.

 

부채총계 = 2억

자본총계 = 1억 5천만원

 

부채비율 = (2억원 / 1억 5천만원) * 100 = (4/3) * 100 = 133%

 

보통 부채비율이 200% 이하인 업체가 재무구조가 우량한 기업이라고 여겨집니다.

 

주식 투자를 함에 있어서, 재무구조를 봐야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상장폐지의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함입니다.

 

단,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의 금융사는 위와 같은 기준으로 안정성을 평가할 수 없습니다.

 

2022.11.16 -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 상장폐지의 뜻, 절차와 상장폐지를 피하는 법

 

상장폐지의 뜻, 절차와 상장폐지를 피하는 법

'주식이 휴지조각이 됐다.' 투자자로써는 이보다 끔찍한 말은 없을 것입니다. 최악의 상황을 모면하는 방법, 상장폐지 위험 주식을 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상장폐지

investment2.tistory.com

 

금융사는 외부자금을 부채의 형태로 조달하여 수익을 창출하여 사업을 운영하기 때문입니다.

 

이에 대해선 기회가 된다면 이후에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