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급등주 분석

급등주 : 씨이랩 재무제표 분석 및 전망

by 투two 2022. 8. 24.

 

 

출처 : 네이버 금융

코스피(KOSPI), 코스닥(KOSDAQ)이 각각 -1.1%, -1.56%로 장을 마감하며 오늘도 하락장 기조를 유지하였습니다.

이러한 장 속에서도 상한가 종목은 존재하였는데요,

오늘은 상한가를 달성한 씨이랩(189330)이라는 종목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씨이랩 재무제표 분석

 

1-1) 주식수

 

시가총액 : 940억원

총 발행 주식 수 중 소액주식 수 : 200백만 주

(실질 유통 주식 수로 보아도 무방합니다)

- 8월 23일 기준

 

 

시가총액이 매우 적은 종목임에다가, 실질적 유통 주식수가 적은 점을 감안할때, 상승이 지속될 때는 품절주로 연속상승이 가능해 보입니다.

 

1-2) 사업내용

 

출처 : 전자공시시스템(DART)

 

주요 매출 구성은, 제품용역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

그 중 약 99%를 차지하는 품목이 AI유통(용역)어플라이언스(제품)입니다.

 

출처 : 전자공시시스템 씨이랩 22년 반기보고서

 

공시 내용에 따르면,

 

AI유통이란 AI영상분석 서비스를 의미하며,

어플라이언스엔 NVIDIA(엔비디아)의 제품에 Uyuni(우유니)라는 솔루션을 탑재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22년 3월 30일 40억 규모단일 판매/공급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공시하였는데,

이는 3분기 제품 매출로 인식될 것으로 보입니다.

 

1-3) 재무제표 분석 

 

출처 : 전자공시시스템(DART)

반기 누적 기준으로, 전년 대비하여 매출액41% 감소하였습니다.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21년 반기까지 매출원가가 매출액보다 높다는 점입니다.

즉, 제품을 팔면 오히려 회사에 손해가 발생하는 상황이었다는 것입니다.

 

22년 이러한 상황은 개선이 되었지만, 여전히 영업이익은 마이너스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출처 : 네이버 금융

21년, 22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고 있지만, 다행히 그 전엔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하여 당장 상장폐지를 우려하진 않아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채비율

19년 : 226%

20년 : 280%

21년 : 28%

 

 21년 부채비율이 대폭 감소했습니다. 21년 초 코스닥 상장을 통해 자본총계를 늘렸으며, 이후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를 통해 재무구조를 개선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업종에 따라 다르겠지만, 부채비율이 높다면 자본잠식의 확률이 커져 상장폐지 요건을 충족할 수 있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합니다.

 

전체적으로 재무상태나 손익구조를 보았을 때 사업의 확장성 및 안정성에 대해선 의문점이 들지만, 당장 상장폐지를 걱정할 종목은 아니라는 판단이므로 단기적으로 접근은 가능하다고 생각됩니다.

 

2. 씨이랩 차트 분석

출처 : 네이버 금융

씨이랩의 주봉 차트입니다.

 

차트를 보시면, 무언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드실 수 있습니다.

 

'거래량이 너무 없는거 아니야?!'

 

21년 이전에는 거래량이 거의 전무하며, 차트 또한 매끄러운 모양새가 아닙니다.

이유는 씨이랩이 21년 초 코스닥에 상장하였기 때문입니다.

그 이전엔 코넥스 시장에서 거래가 되었으며, 코넥스 시장은 코스피, 코스닥 시장보다 유동성이 원할하지 않습니다.

 

출처 : 네이버 증권

일봉 차트를 보시면, 21년 7월부터 대세 상승이 시작될 때 이후, 상승할 때 외엔 거래량이 크게 터진적이 없습니다.

 

'왜' 상승했는지도 파악하기 어려우며, '왜' 하락했는지 구체적 이유는 더욱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왜 상승했는지에 대한 21년 7월 9일 공시 내용에 따르면, '현저한 시황변동과 관련하여 별도로 공시할 중요한 정보가 없습니다.' 라고 답했으니 말이죠.

 

8월 23일 약 56만주(거래액 100억 안팎)라는 적은 거래량으로 상한가에 안착시켰습니다. 뚜렷한 테마나 재료없이 말이죠.

뚜렷한 재료가 없는 종목에 많은 개미가 붙을 확률이 얼마나 될까요?

 

만약 보이지 않는 존재(흔히 세력이라 부르죠)에 의해 올랐다면, 시가총액이 낮고 유통물량이 적은 주식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단기 저항대인 20,000원까지는 상승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그러나 재무제표를 확인하였듯, 장기 투자할 종목은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