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상장폐지 뜻, 절차와 상장폐지를 피하는 법

by 투two 2022. 11. 16.

 

 

'주식이 휴지조각이 됐다.'

 

투자자로써는 이보다 끔찍한 말은 없을 것입니다.

 

 

최악의 상황을 모면하는 방법, 상장폐지 위험 주식을 피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미 상장폐지 위기의 주식에서 탈출하는 방법이 아닌, 사전에 상장폐지 위험이 있는 종목을 피하는 방법입니다.

 

기업의 입장에서 상장폐지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자발적 상장폐지와 비자발적, 즉 상장폐지를 '당하는' 것입니다.

 

자발적 상장폐지는 기존의 주주에게 피해가 가지 않으므로, 비자발적 상장폐지 위주로 알아볼 것입니다.

 

1. 상장폐지의 뜻과 절차


'상장폐지'란 더이상 코스피, 코스닥에서 거래되지 못하도록 상장을 취소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상장폐지는 대체로

 

관리종목 지정 사유 발생 → 관리종목 지정 → 사유 개선 미비시, 상장폐지 요건 발생 및 법인에 통보 → 이의신청 → 상장폐지 → 정리매매

 

와 같은 절차를 거치게 됩니다.

 

간혹 즉시 상장폐지 요건이 발생하여, 위의 과정의 일부를 생략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정리매매는 기존 거래되던 가격의 약 1/10로 거래됩니다. 즉, 약 90%의 손실로 시작되는 마지막 거래 기회이므로, 무조건 상장폐지될 수 있는 주식은 피해야 하며 정리매매 주식을 거래하는 것 또한 절대적으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2. 상장폐지 요건


 

아래 표는 자세한 상장폐지 요건 확인을 위해 가져온 것이므로, 상장폐지를 피하는 방법을 바로 확인하시려면 3번 소주제로 넘어가시면 됩니다.

 

 

1) 코스닥시장 상장폐지 요건

코스닥시장 퇴출요건 (출처 : KRX)

 

2) 코스피시장 상장폐지 요건

 

코스피시장 퇴출요건(출처 : KRX)

 

위 두 표는 한국거래소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코스피, 코스닥 상장폐지 요건입니다.

한 눈에 봐도 너무, 너무 복잡합니다.

또, 각 기업을 분석하며 위 표와 일일이 대조하기도 어려울 것입니다.

 

따라서, 상장폐지를 피할 수 있는 '실전적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볼 것입니다.

 

(※참고 : 최근 관리종목 내역은 KRX 홈페이지 → 투자참고 → 관리종목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상장폐지를 피하는 방법


상장폐지 요건을 왜 만들었을까요?

 

기업의 주식은 투자의 대상입니다. 즉, 투자할 가치가 없는, 또는 투자자에게 해가 될 기업은 상장을 유지시킬 이유가 없습니다.

 

투자할 가치가 없는 기업은 어떠한 기업일까요?

 

기업은 수익을 창출하는, 아니 해야 하는 이익집단입니다. 따라서, 투자자의 돈을 투자받고도 수익을 창출하지 못하는 기업은 투자할 가치가 없는 기업입니다.

또한, 투자자에게 잊혀진 기업도 투자할 가치가 없는 기업입니다. 슬프지만, 거래가 되지 않는 기업의 주식은 상장의 의미가 없죠.

 

투자자에게 해가 될 기업은 어떠한 기업일까요?

 

투자자의 투자금을 악용하는 대표이사, 횡령, 본래 사업 목적에서 벗어나 사채만 발행하는 기업 등은 투자자에게 해가되는 기업입니다.

 

결론은 한가지로 귀결됩니다. 우리는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의 주식만 매매하면 됩니다.

 

수익을 창출해내는 기업은 투자할 가치가 있습니다. 투자자에게 외면받을 위험도 없으며, 수익창출을 잘 해내는 기업의 대표이사가 무리하게 횡령을 하지도, 무리하게 돈을 끌어모으지도 않습니다.

따라서, 상장폐지 요건을 고려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렇다면 최소한의 수익을 창출해내는 기업을 판단하려면 무엇을 확인해야 할까요?

 

최소한 2가지는 꼭 확인하시고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1. 영업이익이 +인가?

2. 자본 대비 부채 비율이 적절한가? (금융업 제외)

 

비보존 헬스케어 주요재무제표 (출처 : 네이버 증권)

비보존 헬스케어는 현재 관리종목입니다. 2018년 6월 상장으로, 지속적 영업적자로 인해 상장폐지 위험이 있는 종목입니다. 상장 이후 4년 연속 적자를 기록하였습니다.

 

체리부로 주요재무제표 (출처 : 네이버 증권)

체리부로는 현재 관리종목입니다.

체리부로의 21년 사업보고서 기준 부채총계는 자본총계의 약 5배입니다. 부채가 많다는 것은 그만큼 회사의 재무구조가 불안정하다는 의미이며, 자본총계가 점차 감소하는 것은 영업적자가 누적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자본총계보다 자본금이 많아지면 자본잠식입니다.

게다가, 현재 경영권분쟁으로 소송이 진행중입니다.

 

상장폐지를 피하기 위해 꼭 확인해야 할 2가지는, 영업이익과 부채총계/자본총계 입니다.

 

부채총계, 자본총계에 관한 글

2022.11.20 -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 재무제표 기본 중의 기본 - 자산, 부채, 자본 (쉽게 이해하는 방법)

 

재무제표 기본 중의 기본 - 자산, 부채, 자본 (쉽게 이해하는 방법)

주식을 하시거나, 기업의 재무제표를 한 번이라도 보셨다면 자산, 부채, 자본을 들어보셨을 것입니다. 오늘은 회계의 기초중의 기초, 재무제표를 읽기 위해 최소한 알아야하는 지식인 '자산, 부

investment2.tistory.com

 

영업이익에 관한 글

2022.11.22 - [돈이되는 지식/기본적 분석] - 손익계산서를 읽는 방법 (DART 접속, 이용 방법)

 

손익계산서를 읽는 방법 (DART 접속, 이용 방법)

매 분기 또는 회계 기간마다의 실적을 보여주는 것이 바로 기업의 손익계산서입니다. 사업을 잘 하고 있는지, 돈은 잘 벌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선 손익계산서 정도는 읽을 수 있어야

investment2.tistory.com

 

댓글